2025. 3. 11.
Horizon Europe 2025 워크 프로그램: 한국 연구자들에게 열리는 기회
2025년부터 아시아 국가로는 최초로 한국이 Horizon Europe에 준회원국으로 가입하면서, 한국과 유럽연합은 새로운 연구 혁신 협력의 장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과 유럽연합 주한대표부는 3월 6일 서울에서 한-EU 연구혁신의 날 행사를 개최하여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이석래 한국연구재단 사무총장 환영사 사진>

보얀 그라스(Bojan Grlaš) 유럽집행위원회 연구혁신총국 국제협력부팀장은 Horizon Europe 2025 워크 프로그램에 대해 발표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 Horizon Europe 2025 주요 계획:
2025년 워크 프로그램은 EU 선거 일정으로 인해 1년 단위 프로그램으로 진행됨.
연구 및 혁신 우선순위는 **Horizon Europe 전략 계획(2025-2027)**에 따라 결정됨.
중점 연구 분야:
녹색 전환(Green Transition)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ition)
지속가능한 산업 및 바이오경제(Bioeconomy & Biotech)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
인공지능 및 디지털 혁신(Digital & AI)
한국 연구자들은 준회원국 자격으로 유럽 연구자들과 동등한 조건으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으며, 연구비 지원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습니다.


성공 사례 발표: 한국 연구자들의 경험
이번 행사에서는 Horizon Europe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연구자들의 사례가 공유되었습니다.
1. 유럽연구이사회(ERC) 시너지 그란트 2024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ERC Synergy Grant를 받은 경험을 소개했습니다.
ERC는 기본적으로 Horizon Europe 필라 1에 속하지만, 시너지 그란트는 예외적으로 한국 연구자가 참여하여 연구비를 받을 수 있음.
다학제적 협업을 통해 연구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
연구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며, 유럽 파트너와의 장기적인 연구 협력이 필수적.
2. Horizon Europe Pillar 2 참여 사례 – 건국대학교 우수민 교수
우수민 교수는 Driving Urban Transition(DUT) 2023 Call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컨소시엄 구성 시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
한국 연구자들은 국내 연구 펀딩(예: KAIA)도 함께 고려하여 활용할 수 있음.
유럽에서는 **사회적 영향(Social Impact)**을 중시하므로, 연구 제안서를 작성할 때 정량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연구가 미칠 사회적 변화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함.
이 사례 발표를 통해 연구자들은 Horizon Europe 참여의 실질적인 전략과 준비 과정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네트워킹 및 협업 세션: 실질적인 연구 파트너십 구축
행사 후반부에는 연구자 및 기업 관계자들이 직접 유럽 파트너를 만나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되었습니다.
📌 주요 세션:
연구 홍보 세션 – 유럽 및 한국 연구기관이 현재 진행 중인 연구와 과제를 발표.
파트너 서칭 세션 – 연구자들이 유럽 파트너와 협력을 모색하고, 컨소시엄을 구성할 기회를 제공.
실무 가이드라인 세션 – Horizon Europe 참여 방법, 유럽 및 한국 지원 채널(EURAXESS, KERC 등)에 대한 가이드 제공.

<행사 사진 - 대한민국 NCP 임명>
마무리하며: Horizon Europe과 한국의 미래
2025 한-EU 연구혁신의 날은 한국이 EU 연구혁신 프로그램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행사였습니다.
✅ 한국 연구자들은 이제 유럽 연구자들과 동등한 조건으로 Horizon Europe 프로젝트에 참여 가능.
✅ 탄소 중립, AI, 바이오 헬스케어, 스마트 모빌리티 등 미래 핵심 기술 연구 협력이 강화될 것.
✅ 유럽 연구 파트너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며, 장기적인 협력 전략이 필요.
앞으로 한국의 연구자들이 Horizon Europe을 적극 활용하여 글로벌 연구 협력의 중심에서 활약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